경제이야기

희토류, 중국의 전세계에 대한 희토류 장악력 수준

wonderfather95 2025. 4. 19. 18:34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시장에서 위치는

'압도적' 이다.

희토류가 함유된 토양을 옮기고있다. -조선일보 발췌

 

 

 

생산 지배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채굴의 약 60%(2024년 기준 약 24만 톤),

가공의 90%를 담당한다.

 

특히, 가공의 90%는 가공할만한 것이기도한 것이,

1) 대부분의 희토류제품은 중국에서 생산된다.

2) 채굴된 희토류는 대부분 중국에서 가공된다.

 

어마어마하지 않은가.

 

이 모든 것이,

이는 1980년대부터 정부주도의

대규모 보조금(연 1조 2,000억 원) 지원과

낮은 환경 규제에 의한 결과이다.

 

공산국가이기에 가능한 일.

 

 

 

공급망 통제

 

채굴, 정련, 자석 생산(NdFeB 등)에 이르는

전 공급망을 장악하며,

사용하는 전 세계가 가공 단계에서 중국에 의존한다.

 

대표적으로

미국에 희토류광산을 가지고 있는

MP Materials는 정광을

중국(Shenghe Resources)으로

수출해 가공하여 재수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국가별 희토류 수입 의존도 -NEWSPIM 발췌

 

 

 

희토류에 취약한 선진국들

 

미국은

레드우드 머티리얼을 통해 

희토류 가공능력을 확보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027년까지 공급망 독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지만,

아직은 중국의 1% 미만 수준이다.

 

호주(Lynas) 등 동맹국도 중국 의존도가 높다.

 

 

 

Very ordinary opinions are ...

 

희토류는

지표상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환경규제가 약하고 인건비가 싼 중국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하다.

 

미국발 관세전쟁은

인류로 하여금

 

환경과 미래세대를 위한 포기인가.

일단 살고보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