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이야기

[20250417]미국 희토류업체, 전격 중국 수출 중단, 전망은?(feat.MP머티리얼스)

wonderfather95 2025. 4. 19. 21:00


미국의 대표 희토류 생산업체 MP 머티리얼스가
전격적으로 중국 수출을 중단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418100300009?input=copy

 

미국 희토류 업체, 중국 수출 중단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 중국이 미국의 관세 공세에 대한 맞대응으로 희토류 수출 통제에 나선 가운데 미국 희토류 업체가 대중국 수출을 ...

www.yna.co.kr

 

MP머티리얼즈 광산 전경 -연합뉴스 발췌

 

전격 중단의 그 배경이 궁금하다

 

 


2025년 4월,
중국은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약 125%에 달하는 높은 관세
(중국산 제품에 54% 관세, 기존 관세 포함 최대 64.9%)에
대응해 희토류 및 관련 자재
(스칸듐, 디스프로슘, 가돌리늄 등 7종)에
대한 수출 통제를 강화했다.
이 통제는 완전한 수출 금지가 아닌,
수출 허가제를 통한 제한으로,
중국 상무부의 승인을 받아야 수출이 가능하다.
이는,

희토류 수출이 사실상 중단 또는 지연과 같다.

MP Materials는 2025년 4월 18일,
중국으로의 희토류 정광 수출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유는 중국이 부과한 125% 수입 관세로 인해 수출이
"상업적으로 비합리적"하며,
미국의 국가 이익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MP Materials는

 

 

 

미국 내 유일한 희토류 광산(Mountain Pass, 캘리포니아)을
운영하는 기업이다.
희토류 정광(rare earth concentrate)을 주로 생산하며,
전통적으로 중국의 상하이 자원 홀딩스
Shenghe Resources(MP Materials의 4대 주주)로
수출해서 가공해왔다.

 

MP Materials는 작년 매출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1) 70% : 희토류 정광(concentrate) 수출

(2) 30% : NdPr 산화물 및 희토류 재활용품 판매

 

 

 

주요 이슈

 

제조업과의 거리두기 정책은
오래전부터 미국이 해왔던 것으로,
고부가가치와 서비스업 위주로 산업을 편성하면서
만들어진 일종의 부정적인 부메랑 효과이다.

미국은 희토류 채굴 및 가공에서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채광의 약 60%,
가공의 90%를 장악하고 있으며,
MP Materials 역시 정광 가공을 위해

중국에 의존해왔다.
중국의 수출 통제로 미국의 방산, 전기차, 반도체 산업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MP Materials는 전략적 전환을 모색할까

 

 

MP Materials는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캘리포니아 Mountain Pass에서 정광 생산을 늘리고,
텍사스 포트워스(Fort Worth)에
희토류 자석 생산 시설을 건설 중이다.
이 시설은 2025년 말 상업 생산을 목표로 하며,
제너럴 모터스(GM)가 주요 고객으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2025년 말까지 생산량은
네오디뮴-보론-철(NdFeB) 자석 1,000톤으로,
중국의 2018년 생산량(138,000톤)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전망

 

 

단기적으로는
중국 수출 중단으로 매출의 큰 부분이 사라지면서
당장은 주가가 하락추세를 벗어나기 어려울듯.

 

장기적으로는

희토류 공급 부족으로

미국의 주력사업인

방산(드론, 로봇, 미사일), 전기차, 반도체 산업이

타격을 받을 것이다.

미국은 비축된 희토류가 있지만,

장기적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부족하다.

 

"8억 8천만달러로 추정하지만,

F-35전투기, 잠수함 등의 생산을 위해서는 부족하다."

 

 

Very ordinary opinions are ...

 

 

국방부는 2020년 이후 지금까지

4억 3,900만 달러 이상을 투자했다.
그러나 중국의 압도적 생산량과
기술적 우위를 따라잡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이다.

MP Materials의 중국 수출 중단을 통해
미국의 희토류 취약성을 드러낸 것이다.

약점 말이다.

 

미국은 앞으로,

MP Materials을 필두로 공급망 독립에 성공해야만 한다.

위기앞에서, 기회가 온 것일까.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이 필요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