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 마약이나 담배보다 더 강한 중독성?
최근 숏폼 콘텐츠, 즉 1분 이내의 짧은 동영상이 인기를 끌며 사람들의 일상에 깊숙이 들어왔습니다.
종류로는 틱톡,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등
다양한 플랫폼이 숏폼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우리는 끊임없이 짧고 자극적인 영상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숏폼 콘텐츠가 마약이나 담배보다 더 강한 중독성을 가질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왜 숏폼 콘텐츠가 중독성이 강할까요?
https://youtu.be/vAbTDiXTG0s?si=ufIj6w1sJCkzUlOn
통계는 이렇게 말한다.

2024년 한 해 동안 청소년들의 이용률이 가장 높은 매체는 '숏폼'이었다. 특히 초등학생들의 이용률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는데, 초등학생은
숏폼 콘텐츠(88.9%), TV방송(88.7%),
인터넷 개인방송 및 동영상 사이트(87.7%) 순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우리자녀는 어떻하지 ?

심지어 그 중독성이 마약과 담배와 비견한다는데,
살짝 그 내용을 분석해보았다.
1
도파민 분비와 뇌의 보상 시스템
마약과 담배가 사람의 뇌에 자극을 주어
쾌락 호르몬인 도파민을 분비시키고,
그로 인해 중독성이 강한 것처럼,
숏폼 영상은 짧고 자극적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계속해서 더 많은 영상을
소비하게 되고, 이때 도파민이 분비되며,
이러한 사이클로 숏폼을 소비하게 되는
중독적인 행동을 하게 됩니다.
숏폼 영상은 짧은 시간에 강한 자극을 주기 때문에,
그 자체가 마치 보상처럼 작용하며, 더 자주 시청하고 싶다는 욕구를 자극한다고 합니다.
2
즉각적인 만족감과 자극
숏폼 콘텐츠는 우리가 잠깐의 시간을
쪼개어 소비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됩니다.
불과 몇 초에서 몇 분 사이의 시간 동안
강렬한 자극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를 통해 즉각적인
만족감을 얻습니다.
이러한 즉각적인 보상체계는 마약이나
담배와 유사한 방식이기도 합니다.
거기다, 숏폼은 손쉬운 접근과
물리적, 공간적 제약이 적으므로
중독성이 더욱 강해질 수 있습니다.
3
뇌의 인지 부하 증가
숏폼 콘텐츠의 연속적인 소비는
뇌에 과도한 자극을 주며,
집중력 감소와 기억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계속해서 자극적인 영상을 소비하는 동안
뇌는 점차 과부하 상태에 빠지게 되고,
이는 집중력과 인지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마약이나 담배도 신체와 정신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만,
숏폼 콘텐츠 역시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정신적,
인지적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4
심리적 의존성
숏폼 콘텐츠는 사용자의 관심을 빠르게 끌고,
반복적인 시청을 유도합니다.
이런 특성은 사용자가 숏폼 콘텐츠에
심리적으로 의존하게 만듭니다.
마치 마약이나 담배가 제공하는
일시적인 쾌락처럼, 숏폼 콘텐츠는
즉각적인 쾌감을 제공하지만,
그 후에는 피로감이나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그 순간의 기분 전환을 위해 계속해서
숏폼 콘텐츠를 소비하게 되며,
이는 점차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very ordinary opinions are ...
감각추구' 라는 신체현상이있다.
손을빨거나, 부드러운이불을 끌어안고다니거나,
뭔가를 자꾸만지고 입에넣는 등.
아이의 발달과정중 하나이며 자라면서 사라진다.
숏폼은 새로운 형태의 감각추구'가 아닐까.
감각을 추구하는 아이에게 그 행위를 못하게
할경우 심리적정서적 불안감을 극도로
느끼며 표현하기도 한다.
숏폼은 청소년을 넘어 어른에 이르기까지
아이'로 돌아가게 하고있다.
몸만 어른인 '어른이' 말이다.
어른의 역할이 중요한 시기이다.
어지러운정국, 어려운경제, 무너지는가정 등.
어른들이 빨리 돌아오면좋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