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9

[20250422]관세전쟁의 책임, 트럼프에서 연준으로… 변하는 화살표(feat.파월,팽인가 읍참인가)

트럼프의 움직임이 수상하다.트럼프가 처음과는 다른방향을 타진하는 것으로 보인다.지금까지 트럼프는 '자국 우선주의의 경제 전략'을 추구하며관세전쟁의 시작부터 지금까지를 이끌어왔다.그의 수상한 움직임을 '관세전쟁'의 본질부터 '지금'까지를사실을 기반으로 팩트체크하며 알아보자.트럼프, ‘관세전쟁’의 본질은 무엇인가… 자국 우선주의의 경제 전략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통해 미국 산업을 보호하고 무역적자를 줄이려 했다.그 이면에는 연 이자만 1조 달러에 이르는 국채부담을 줄이고자 하는데 있었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미 국가 부채는 작년 말 기준 GDP의 124%, 35조4600억달러(약 5경736조원),국채 이자로만 2024회계연도에 1조1330억달러(약 1621조원)를 지급했다.이자만 우리나라 1년 예산에 2..

경제이야기 2025.04.22

[20250420]미중 관세전쟁 : 미국 VS 중국, 누가 협상을 주도할까?

2025년 4월 현재, 미중 관세전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기 집권 이후 재점화되며 글로벌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너머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최대150%까지 부과하고 AI 칩 수출 제한 등 강경 조치를 취했으며, 중국은 이에 맞서 미국산 석탄, LNG, 원유 등에 10~15% 보복관세를 포함한희토류와 같은 자원을 앞세운 공세를 펴고 있다.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향해관세조치와 함께 '우리는 들을 준비가 되어있다'며 협상의 메시지를 던졌지만,중국은 아직 답하지 않은상태이다.어찌보면, 미국만 답답해 발을 구르는 실정이다.지금까지 진행된 관세 경쟁을 정리하면서과연 미국과 중국, 누가 주도할 것인가. 협상 주도국은 누구 : 미국 vs 중국 1) 미국..

경제이야기 2025.04.21

희토류, 중국의 전세계에 대한 희토류 장악력 수준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시장에서 위치는'압도적' 이다. 생산 지배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채굴의 약 60%(2024년 기준 약 24만 톤),가공의 90%를 담당한다. 특히, 가공의 90%는 가공할만한 것이기도한 것이,1) 대부분의 희토류제품은 중국에서 생산된다.2) 채굴된 희토류는 대부분 중국에서 가공된다. 어마어마하지 않은가. 이 모든 것이,이는 1980년대부터 정부주도의대규모 보조금(연 1조 2,000억 원) 지원과낮은 환경 규제에 의한 결과이다. 공산국가이기에 가능한 일. 공급망 통제 채굴, 정련, 자석 생산(NdFeB 등)에 이르는전 공급망을 장악하며,사용하는 전 세계가 가공 단계에서 중국에 의존한다. 대표적으로미국에 희토류광산을 가지고 있는MP Materials는 정광을중국(Shenghe ..

경제이야기 2025.04.19

전격 상호관세 면제. 애플, 삼성 회복의 실마리.(feat.님아 제발 가만히계시소서)

트럼프의 갑작스런 변심트럼프는 역시나 쇼맨십의 남자인가.미국시간으로 4월 11일 저녁, 우리시간으로 4월 12일 아침(토)에전격! 일부품목의 관세를 면제한다고 발표했다.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스마트폰, 노트북, 반도체 제조 장비, 메모리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 특정 품목에 대해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를 면제한다고 공지했다.대상 품목으로, 스마트폰 (아이폰, 갤럭시 등) 반도체 제조 장비 (HS 8486) 메모리칩, 프로세서 칩, 아날로그/로직 칩 노트북, SSD, 모니터, 키보드, 태양광 패널 등 미국 정부는, 물가 상승을 우려하고있는것이 확실하다.특히, 이미 사재기와 더불어중국에서 부터 아이폰을 공수하는 등아이폰과 같은 고가 소비재의 가격 급등..

경제이야기 2025.04.13

[20250411]상호관세 쓰나미. 한국은 10%인가 25%인가.

연일 계속되는 관세 정책 변화는가히 기관총세례를 너머융단폭격이다.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지난 무차별 일괄 관세 부과를 이야기 한 이 후11일(현지시간)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국가별 맞춤식(tailored) 차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지만,상호관세의 기본 세율인 10%가 하한선 수준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예외 있을 수 있지만, 국가별 상호관세 10%가 하한선" | 중앙일보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협상하는 것과 관련해 상호관세의 기본 세율인 10%가 하한선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날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www.joongang.co.kr제일 적게 한다면 10%제일 많이 부과한다면 25%에서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트럼프 대통령의 M..

경제이야기 2025.04.13

[20250412]트럼프대통령의 밀당. 반도체 관세의 결말.(feat.14일 발표되는 관세 결과)

트럼프 형또. 뭘 기다리라는 건가요.어제 아침(4.12.) 밝힌, 상호관세 적용않겠다는 말에다가애매함 한 스푼을 더하시는트럼프대통령. 어쩌라고요 ㅡㅡ; https://wonderfather95.tistory.com/m/37 전격 상호관세 면제. 애플, 삼성 회복의 실마리.(feat.님아 제발 가만히계시소서)트럼프의 갑작스런 변심트럼프는 역시나 쇼맨십의 남자인가.미국시간으로 4월 11일 저녁, 우리시간으로 4월 12일 아침(토)에전격! 일부품목의 관세를 면제한다고 발표했다.미국 관세국경보호국(Cwonderfather95.tistory.com반도체와 휴대폰을 포함한 일부항목에 대한관세적용 면제를 알렸던 트럼프 형.이제와뭘 구체적으로 알리시겠다는건지.내일 주식 장은여전히 안개 속이다.“월요일(14일)에 그에 ..

경제이야기 2025.04.12

[20250406]관세를 맞이하는 애플의 자세. 아이폰 가격 급등.(feat.아이폰 오르기전에 사야하나?)

애플가격이 관세폭탄에 의해 현실화 되고있다. 새로운 등골 브레이커가 되는가. 대부분 중국산인 아이폰은 최대 54% 관세를 부담해야 한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미국 증권사 로젠블랫의 버턴 크로켓 애널리스트는 “애플은 약 400억 달러(약 58조4600억원) 규모의 관세 비용에 직면해 있다”며, 이 비용을 전가하려면 아이폰은 43%, 맥(Mac)은 39%,아이패드는 42% 인상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해당 분석에 따르면 현재 799달러(약 117만원)인 ‘아이폰 16’의 기본 모델은 1142(약 167만원)달러로 인상되고, 고급 모델인 ‘아이폰 16 프로 맥스’는 1599달러(약 234만원)에서 2286(약 334만원)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 애플, 중국산 54% 관세에 불똥…“아이폰16프로맥스 330만원 ..

카테고리 없음 2025.04.07

[20250405]트럼프 관세정책, PB가 한국 유통업체의 새로운 기회인가(feat.노브랜드,산자는살아야한다.)

어제자 신문의 대서특필은 단연 '대한민국 대통령 탄핵' 이다.(Impeachment of the president, 나는 영알못^^)온나라가 떠들석한 가운데, 신문의 그 다음페이지는연일 탑 기사인 미국의 관세정책이다.나의 간식창고였던 코스트코의 상품가격은하루가 다르게 상승추세로 발걸음이 뜸할지경.https://wonderfather95.tistory.com/m/30 [20250404]관세정책, 한국 코스트코의 가격 폭등. 아이폰 비싸지나(feat.삼성 반사이익)최근 맛을 들인 코스트코의 베이글식빵을 사려고지갑이 체워지자마자 득달같이 달려갔다.생각보다 한산한 코스트코, 늘상 몰려있는 바나나와 유제품코너를 제외하고는무슨일 있나 싶을만큼 wonderfather95.tistory.com하지만, 속수무책일 줄 알..

경제이야기 2025.04.05

[20250404]관세정책, 한국 코스트코의 가격 폭등. 아이폰 비싸지나(feat.삼성 반사이익)

최근 맛을 들인 코스트코의 베이글식빵을 사려고지갑이 체워지자마자 득달같이 달려갔다.생각보다 한산한 코스트코, 늘상 몰려있는 바나나와 유제품코너를 제외하고는무슨일 있나 싶을만큼 조용하다.찐단백질 섭취를 위해서는 커클랜드 그릭 요거트가 최고지.왠걸, 없다. 그러고보니, 커클랜드 제품이 듬성듬성 빠져있었다.트럼프의 관세정책은 내 주변에서 이렇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코스트코 비상 !https://m.news.nate.com/view/20250403n09812?mid=m02 [트럼프 관세전쟁] '가성비' 코스트코도 비상…가격전략 수정 불가피 : 네이트 뉴스한눈에 보는 오늘 : 경제 - 뉴스 : 미국 직수입 의존도가 높은 코스트코가 상호관세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미국 도널드 트럼프 ..

경제이야기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