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이야기/테슬라,너만믿는다.

테슬라, 희토류의 재활용,기업,주식 이야기(feat.레드우즈머티리얼즈)

wonderfather95 2025. 4. 17. 23:11

 

트럼프와 시진핑 -중앙일보 발췌


이번 괴짜 트럼프의 관세 폭격에서
살아남을 국가가, 회사가 과연있을까.

결국 위기를 잘 준비해온 회사가 살아남는가보다.

특히, 대 중국과의 관세전에서 당연하게도
희토류는 중국의 가장 큰 무기였고,
우리는 이미 알고 있었지만 결국 놓치고 말았지만

대비한 곳이 있었으니,
바로, 테슬라이다.

테슬라가 중국과의 관세 전쟁에서
유일하게 안정감을 갖고 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특히, 자국전량조달에 의한 유일한 국내조립차는
테슬라를 비난하던 언론으로부터 탄사를 받고있다.

뿐만아니라,
동종인 전기차 업게가 가지는
희토류 부족 현상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물론, 테슬라뿐 아니라
포드, GM과 같은 회사들도
관련 기업들과 파트너쉽을 맺고
그 지위를 공고히하는 중이나,
선두의 테슬라와
같이 서기에는 아직
많이 부족해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신형 모델 Y 쥬니퍼- not a tesla App에서 발췌



전기차에서 희토류 재생산하기

전기차에서 자원의 회수는
매우 어려운 공정이라고 한다.
아직 국내는 물론 미국에서도
이러한 기업이 손에 꼽힌다고하니,
투자관점에서도 눈여겨볼 일이지않을까.


희토류 생산국과 매장량 -동아일보 발췌


폐배터리에서 희토류(특히 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 등)의
회수율은 기술과 공정에 따라 다르지만,
현재 상업 수준에서는 약 80~90%까지
회수 가능하다고 한다.

희토류에서는 대표적으로

리튭, 니켈 및 코발트, 네오디뮴과 같은
자석류가 해당되며,

리튬의 회수율은  75~90%

니켈 및 코발트의 회수율은  90~98%

희토류(네오디뮴 등)  80~90% 로서,

특히 자석류는 모터에 들어가는
영구자석(NdFeB)에서 직접 회수한다고 한다.

종합해보면,
대부분의 자원이 회수가 가능하다는 것이
자원전쟁에서 한 가닥 희망으로 보여진다.

 

네오디뮴으로 만들어진 자석 -위키피디아


이러한 높은 회수율을 가지는 희토류는
다음의 회사들이 담당하고 있다.

1. 레드우드 머티리얼즈 (Redwood Materials)
2. 리사이클 (Li-Cycle)
3. 아메리칸 배터리 테크놀로지 컴퍼니 (ABTC)  

이 중 레드우드 머티리얼즈는

연 매출 1억 7230달러로

기술면, 규모면, 성장성 면에서
가장 앞서있는 기업이다.


레드우드 머티리얼즈(Redwood Materials)


아마 당신은
레이드우즈 머티리얼즈에 대해 알게된다면,
지금 알게된것을 아쉬워하며
페이지를 급히 내릴것이다.
장담한다.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기업 레드우드 머티리얼즈는 연간 6GWh의 리튬 이온 배터리를 처리하고 있다.[사진= 레드우드 머티리얼즈]




설립자
JB 스트라우벨(JB Straubel)은
테슬라의 공동 창립자이자 CTO(최고기술책임자)였으며,
2004년부터 2019년까지
테슬라의 배터리 기술과 공급망 구축을 이끈 핵심 인물입니다.

2017년 레드우드 머티리얼즈를 창립하고,
테슬라에서 물러난 후 본격적으로
배터리 재활용 사업에 집중했습니다.

놀랍지 않은가 ?!



머스크는 과연 여기까지 생각했단 말인가 ?!




테슬라는 현재
기가팩토리 네바다(Gigafactory Nevada)에서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고,
이 공장에서 발생하는
배터리 스크랩 및 폐배터리를
레드우드 머티리얼즈가 재활용하고 있습니다.

레드우드의 기술력은
리튬, 니켈, 코발트, 구리 등 핵심 금속을
최대 98%까지 회수할 수 있으며,
이를 다시 테슬라를 포함한 파트너에게 공급합니다.


레드우드는 사실.

25,000달러이하 저가 테슬라차량의
코드명이기도하다.

테슬라출신 CEO와
레드우드' 코드명.

심상치 않다.


Very ordinary opinions are ...


희토류의 중국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선제적 노력들.
이 회사에 대한
GM, volkswagen에 이은 현대까지
투자가 이어지고 있는지금이다.
어느때보다 자원의존도를 이용한
자원전쟁에 이르는 지금.

레드우드의 가장 큰 고객은 누구인지 ?
레드우드를 이을 또는 경쟁할
재활용계의 신흥강자는 어느회사일지 ?
흥미진진하다.

 

https://wonderfather95.tistory.com/41

 

희토류, 중국의 전세계에 대한 희토류 장악력 수준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시장에서 위치는'압도적' 이다. 생산 지배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채굴의 약 60%(2024년 기준 약 24만 톤),가공의 90%를 담당한다. 특히, 가공의 90%는 가공할만한 것이기도한 것

wonderfather95.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