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이야기

핀란드, 교사에게 스마트폰 통제권 부여하다.(feat.8월부터시작,역시핀란드)

wonderfather95 2025. 5. 6. 15:06

미래세대를 위한 무모한 도전.
이나라를 주목하자
핀란드의 교사 스마트폰 통제권 부여 정책


핀란드에서는 최근
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교사에게 보다 강력한 통제권을 부여하는 법안이
추진되고 있다.

https://www.theguardian.com/education/2025/apr/30/finland-restricts-use-of-mobile-phones-during-school-day?utm_source=chatgpt.com

Finland restricts use of mobile phones during school day

Nordic country is latest to act amid evidence of impact on young people, including attention and self-esteem

www.theguardian.com



정책은 어떤내용을 담고있나 ?



스마트폰 사용 제한

2025년 5월 기준,
핀란드 정부는 학교 내에서 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준비 중이며,
교사의 명시적인 허가 없이
수업 중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2025년 8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입니다.

교사는 학생의 스마트폰을 수거하거나
사용을 제한할 권한을 가지며,
필요 시 스마트폰을 직접 뺏을 수 있는 권한도 포함됩니다.

구체적 조치

수업 시작 전 스마트폰을 제출하도록 하거나,
수업 중 스마트폰 사용이 적발될 경우
교사가 이를 보관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는 프랑스나 일본과 같은 국가에서
이미 시행 중인 스마트폰 제출 시스템과 유사합니다.

법적 근거

핀란드 교육부와 교원노조(OAJ)는
이러한 조치를 통해 교사의 수업 운영 자율성을 보장하고,
학생들의 학습 환경을 개선하려는 목표를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정책의 배경 :
왜 정책까지 마련하며 통제하나 ?


학습 성과 저하

핀란드는 2000년대 초 PISA(국제학업성취도평가)에서
1위를 차지하며 세계적인 교육 강국으로 인정받았으나,
이후 성적이 하락하였으며

디지털 기기 과다 사용이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었습니다.


특히,
디지털 교과서와 스마트폰 사용이
학생들의 읽기 점수 하락과 학습 장애로
이어졌다는 연구 결과가 이를 뒷받침합니다.


학생 웰빙 문제

2019년 핀란드 학교 보건 설문조사에 따르면,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33%가
삶에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교사들은 디지털 기기의 과다 사용이
학생들의 정신 건강과 학습 의지를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교사 업무량과 피로도

핀란드 교사들은 교육 개혁과 디지털 도구 도입으로 업무량이 증가하고,
수업에 집중할 시간이 줄어들었다고 호소해 왔습니다.
교원노조(OAJ)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교사의 50% 이상이 과도한 업무량을,
37%가 업무 피로를 느끼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스마트폰 통제는
교사의 수업 운영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교육의 실패 사례

핀란드는 디지털 교과서를 적극 도입했으나,
2023년 기준 상급 중등 교육 자료의 80%가
디지털화된 상황에서
학부모와 교사들은 학습 성과 저하와
디지털 기기의 부작용을 우려했습니다.
이에 따라 2024년부터 종이 교과서와
전통적 학습 방식으로
회귀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습니다.

https://news.ebs.co.kr/ebsnews/menu1/newsAllView/60103383/H?eduNewsYn=R&newsFldDetlCd=CORNER_17#none

핀란드 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자성의 목소리 높아져

핀란드 교육은 2000년대 초 연속 3번(2000, 2003, 2006년) PISA에서 1위를 차지하며 세계 교육의 이상적인 모델로 선망의 대상이 됐다. 그러나 그 후 계속 하락을

news.ebs.co.kr


교육계에 미치는 영향 :
예상가능한 부정적 영향은 ?

디지털 리터러시 저하 우려

스마트폰과 디지털 기기를 교육에 활용하는 것이
디지털 시대에 필수적이라는 주장도 존재합니다.
스마트폰 사용을 전면 제한할 경우,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기술 활용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학생 반발과 갈등

스마트폰 사용 제한에 대한 학생들의 반발이 예상되며,
이는 교사와 학생 간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교사 61.5%가
휴대전화 관련 학생 지도 과정에서
갈등을 경험했다고 답한 사례가 이를 시사합니다.

교사 추가 업무량

스마트폰 수거 및 관리 과정에서
교사의 행정적 부담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이미 과중한 업무량을 호소하는
핀란드 교사들에게 새로운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디지털기기를 사용하여 AR학습을 하고 있다. -경향조선 발췌


한국의 대응 :
스마트기기 통제, 무엇을 두려워하나 ?


한국에서도 스마트폰 과다 사용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존재합니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또래 압력과 감각 추구 성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교사노동조합연맹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교사 61.5%가 학생의 휴대전화
사용 지도 과정에서 갈등을 경험했으며,
67.7%가 욕설을 들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스마트폰 관리의 필요성을 보여줍니다.

국가인권위원회의 판단에 따르면,
학생 휴대전화 일괄 수거는 인권 침해가 아니므로
법적 근거를 마련할 경우 스마트폰 통제 정책을
도입할 여지가 있습니다.



Very ordinary opinions are ...

몇 십년 후 핀란드는 이러한 정책 이 후에
노벨상 수상이 급격히 늘어나고,
교육 만족도와 성취도 평가에서
눈부신 성과를 나타내게될 것이다.

늦었다고 생각될때가 가장 빠른때이다.


핀란드의 한 교육자가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고한다.

'학교의 디지털화는 통제할 수 없는
눈사태가 아니라
우리 스스로가 통제할 수 있는
열쇠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게 중요하다'

열쇠를 가진 그 누군가가 부디 각성해주길 바란다.


https://m.ytn.co.kr/news_view.php?s_mcd=0134&key=202502180902280523&pos=001#return

[자막뉴스] 디지털 시대 거꾸로 가는 핀란드... 학생들 '놀라운 변화'

너나 할 것 없이 열심히 수업에 집중하는 학생들,쉬는 시간이나 등하굣길에도 스...

m.ytn.co.kr